장지활 이모저모/사업계획서는 연필로 쓰세요
연일 장대비가 쏟아지는 6월 말입니다. 여러분은 비 오는 날에 어떤 음악을 들으세요?
요새 제 머릿속을 맴도는 노래는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 입니다.
3단계 도전마을들이 사업계획서를 쓰고 지우고 고치기를 반복하는 걸 보고 있거든요.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 쓰다가 쓰다가 틀리면 지우개로 깨끗이 지워야 하니까'
이 노랫말이 절로 떠오르는 시간들입니다.
그럼 무슨 일들이 있었는지 살펴보러 갈까요?
지난 6월 12일에 나왔던 <마을의 미래를 그립니다!!!> 기억하시나요?
3단계 도전마을들이 현장포럼에서 마을의 미래를 그려보는 소식 전해드렸었지요.
10년 후 우리 마을이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보고, 그에 맞게 발전체계도도 만들어봤습니다.
많은 주민들이 긴 시간 동안 머리를 맞대고 마을의 발전계획을 세웠지요.
그럼 이제 가장 어려운 일이 남았습니다. 발전계획을 사업계획서에 녹여내는 일입니다.
 사업계획서를 쓰러 오신 검덕마을 이장님
사업계획서를 쓰러 오신 검덕마을 이장님
3단계 심사평가가 2주 앞으로 성큼 다가왔습니다. 그 안에 도전마을들은 현장포럼 결과물과
지난 1, 2단계 사업 내용을 바탕으로 3단계 마을만들기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처음 써보는 것도 아닌데 참 어렵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더군요.
 검덕마을 이장님과 마을사업팀
검덕마을 이장님과 마을사업팀
하지만 늘 든든한 조력자인 장지활이 있습니다.
마을사업 담당자와 함께 사업계획서 내용도 검토하고, 예산도 짜 봅니다.
심사평가에서 중요한 것은 3단계 마을사업을 위해 세운 계획들이 충분히 실행 가능한지 여부겠지요?
거기에 맞춰서 사업계획서를 다듬고, 또 다듬고... 무한 수정의 시간입니다.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해 집에 모인 주민들 세차게 내리는 비도 주민들의 열정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지난 사업계획서들을 싹 모아 다시 살펴보며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해 집에 모인 주민들 세차게 내리는 비도 주민들의 열정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지난 사업계획서들을 싹 모아 다시 살펴보며 
이번엔 어떻게 써야 완성도 높은 계획서가 될지 의논합니다.
 논의 중인 주민들
논의 중인 주민들
이번에 들은 말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이 일은 현재의 행복을 위해 하는 것'이라는 주민분의 말씀이었어요.
맞습니다. 현재의 우리가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고민하는 일이 미래 행복의 바탕이 되겠지요.
장수지역활력센터는 살맛나는 마을만들기를 위해 더 고민하고 힘쓰겠습니다.
다음에는 3단계 마을만들기 심사평가 소식 전해드릴 테니 기대해 주세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장지활 이모저모] 찾아가는 청춘영화관
							[장지활 이모저모] 찾아가는 청춘영화관
							 [마·주·보고] 살짜기 옵서예 '오늘 나도 나들이 가예'
							[마·주·보고] 살짜기 옵서예 '오늘 나도 나들이 가예'